[ 경 제 ]/- 공식보도자료

2020.02.전기차 & 수소차 내수 수출 동반증가세 코로나영향 전년동월대비는 약 18%감소 자동차산업 월간 동향(잠정)

필홍 2020. 3. 13. 21:28
728x90
반응형

자동차 생산 동향

□ 일부 중국산부품 재고 부족, 코로나 19 확산 우려에 따른 공장가동 중단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26.4% 감소189,235대 생산

(현대) 코로나19 영향으로 일부 부품의 재고부족에 따른 공장조업일수가 줄어들어 전년동월 대비 32.5% 감소

(기아) 일부 중국산 부품재고 부족으로 인한 생산차질, 구형모델(카니발, 스포티지 등)의 부진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27.0% 감소

(한국지엠) 트레일블레이저의 본격 생산에도 불구하고 EU지역 수출 중단(19.7월),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14.4% 감소

(쌍용) 신형 코란도의 내수와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그 외 SUV 모델의 내수 경쟁 심화, 수출부진 등으로 생산은 전년동월 대비 36.9% 감소

(르노삼성) 로그(닛산 OEM)의 미국 수출용 물량이 크게 줄었으나, 신차 XM3 출시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9.2% 증가로 전환

 

< ’20.2월 업체별 생산 현황 (단위 : 대, %) > (△=감소)

구 분

’20.2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0.1-2월

전년동기비

점유율

합 계

189,235

100.0

△24.8

△26.4

440,810

△27.9

현 대

71,435

38.5

△41.1

△32.5

192,637

△24.9

기 아

74,020

39.8

△20.7

△27.0

167,304

△27.5

한국지엠

27,164

14.4

31.8

△14.4

47,770

△38.9

쌍 용

4,961

2.6

△42.6

△36.9

13,607

△31.7

르노삼성

11,095

5.9

50.8

9.2

18,454

△25.9

대우버스

152

0.1

23.6

27.7

275

21.1

타타대우

408

0.2

14.9

98.1

763

△8.1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자동차 내수 판매 동향


코로나 19로 인한 자동차 부품 공급차질 및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18.8% 감소97,897대 판매

(현대) 지난달 출시된 GV80과 소형SUV 베뉴 등 신차효과가 있었으나, 기존 모델의 부진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26.4% 감소

(기아) 경소형차와 일부 구형모델의 판매 하락에도, 신형 K5(3세대, ‘19.12월 출시)와 소형SUV 셀토스(’19.7월 출시)의 인기로 감소폭이 둔화되어 전년동월 대비 13.7% 감소

(한국지엠) 주력모델의 내수경쟁 심화에도 불구하고 신차 트레일블레이저의 효과 등으로 인해 전년동월 대비 3.8% 소폭 감소

(쌍용) 소형 SUV 및 픽업차량 경쟁모델의 다수 출시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32.7% 감소

(르노삼성) 일부 구형모델(sm3,5,7) 단종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25.4% 감소

(수입차) 렉서스, 토요타 등 일본계 5개 자동차브랜드가 모두 부진(△52.5%)을 보인 가운데 벤츠, BMW, 폭스바겐 등 독일계 업체의 판매 회복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0.8% 증가

* 일본브랜드 판매 : (‘19.2월) 3,473대(’20.2월) 1,651대 (52.5%↓)

 

< ’20.2월 내수판매 현황 (단위 : 대, %) > (△=감소)

구 분

’20.2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0.1-2월

전년동기비

내수판매

97,897

△15.7

△18.8

214,051

△16.6

현 대

39,290

△17.4

△26.4

86,881

△23.7

기 아

28,681

△22.6

△13.7

65,731

△7.7

한국지엠*

4,978

△2.4

△3.8

10,079

△1.5

쌍 용

5,100

△8.2

△32.7

10,658

△34.9

르노삼성*

3,673

△14.6

△25.4

7,976

△21.0

대우버스

162

8.0

4.5

312

△4.3

타타대우

261

11.1

△3.3

496

△16.5

수 입 차

16,833

△3.2

0.8

34,231

△3.3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한국지엠․르노삼성은 수입 판매차 수치 포함.

 

 

2월 자동차 수출 동향

□ 공장가동 중단에 따른 수출물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 대비 25.0% 감소123,022대 판매

(현대) 팰리세이드, 베뉴 등 신형 SUV는 증가했으나,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수출물량 축소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21.4% 감소

(기아) 신형 SUV 셀토스, 쏘렌토 등은 증가했으나, 일부 모델이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수출물량 축소로 전년동월 대비 30.1% 감소

(한국지엠) 신차 트레일블레이저의 본격 수출에도 불구하고, EU지역 수출 중단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16.4% 감소

(쌍용) 아프리카, 중남미 등 신흥국 수출 부진 등에도 불구하고 신형 코란도의 수출 증가로 7.3% 증가

(르노삼성) 로그(닛산 OEM 모델)의 수출물량 축소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50.2% 감소

 

< ’20.2월 업체별 수출 현황 (단위 : 대, %) > (△=감소)

구 분

’20.2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0.1-2월

전년동기비

점유율

합 계

123,022

100.0

△17.2

△25.0

271,568

△27.4

현 대

46,838

38.1

△37.4

△21.4

121,715

△14.1

기 아

47,700

38.8

△11.6

△30.1

101,672

△32.8

한국지엠

22,942

18.6

47.1

△16.4

38,541

△37.0

쌍 용

2,041

1.7

△2.6

7.3

4,137

0.8

르노삼성

3,384

2.8

75.3

△50.2

5,314

△65.3

대우버스

3

0.0

-

50.0

3

△81.3

타타대우

114

0.1

58.3

9.6

186

△51.2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2월 친환경 자동차 동향(내수/수출)


(내수) 국산 브랜드는 코로나19 여파에도 전기․수소차의 판매호조 감소폭(△9.2%) 상대적으로 작았으나, 수입 브랜드가 일본산 차량의 부진 등으로 크게 감소(△48.0%)하여 전체적으로는 16.2% 감소2월 친환경 자동차 동향(내수/수출)

 

< ’20.2월 친환경차 차종별 내수 현황(단위 : 대, %) > (△=감소)

구 분

’20.2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0.1-2월

전년동기비

합 계

6,341

△15.4

△16.2

13,834

△13.7

하이브리드

(HEV)

4,454

△35.9

△31.7

11,402

△18.3

전기차

(EV)

1,209

568.0

48.7

1,390

12.2

플러그인하이브리드

(PHEV)

235

△17.0

48.7

518

△29.9

수소차

(FCEV)

443

446.9

515.3

524

463.4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수출) 전체 자동차 수출물량 감소에도 유럽 중심친환경차 수출 성장세 등으로 친환경차는 전년동월 수준(△0.3%)14,649대 수출

전기차 연속 31개월, 수소차연속 20개월 전년동월 대비 증가하여 지속적인 수출 성장세 시현

* 전기차 : (‘18.2) 1,287대 → (’19.2) 4,076대(216.7%↑) → (‘20.2) 4,502대(10.5%↑)

* 수소차 : (‘18.2) 2대 → (’19.2) 38대(1,800%↑) → (‘20.2) 90대(136.8%↑)

 

 

< ’20.2월 친환경차 차종별 수출 현황(단위 : 대, %) > (△=감소)

구 분

’20.2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0.1-2월

전년동기비

합 계

14,649

△19.3

△0.3

32,802

△8.9

하이브리드

(HEV)

7,927

△13.4

△17.5

17,083

△23.0

전기차

(EV)

4,502

△38.0

10.5

11,766

5.9

플러그인하이브리드

(PHEV)

2,130

28.5

120.3

3,788

45.3

수소차

(FCEV)

90

20.0

136.8

165

63.4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 ’20.2월 업체별 자동차 국내 판매 현황 (단위 : 대, %) >

* 출 처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국산차 : 현대, 기아, 한국지엠, 쌍용, 르노삼성, 대우버스, 타타대우(7개사)

 

 


< ’20.2월 업체별 승용차 국내판매 현황 (단위:대, %) >

* 출 처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국산차 : 현대, 기아, 한국지엠, 쌍용, 르노삼성(5개사)

 

 

 

 

 

 

 

 

 

 

요약정리

(총괄) ’20년 2월 국내 자동차산업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중국산 부품조달 차질,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생산(△26.4%), 내수(△18.8%), 수출(△25.0%)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

(생산) 일부 중국산부품 재고 부족, 코로나 19 확진자 발생에 따른 일시 공장가동 중단*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26.4% 감소**189,235대 생산

* 조업감소 : (현대) △10.6일, (기아) △8.9일, (지엠) △2일, (쌍용) △8.5일, (르노) △4일

**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생산감소는 약 13만대로 추산(전년동월 대비 감소분 6.8만대 이상 차지)

(내수) 코로나 19로 인한 자동차 부품 공급차질 및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18.8% 감소97,897대 판매

*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내수감소는 약 3.3만대로 추산(전년동월 대비 감소분 2.3만대 이상 차지)

- (국산차) 쏘나타(6.9%↑)와 K5(3.8%↑) 등은 신차효과전월대비 증가하였으나, 코로나19에 따라 여타 차종은 전반적으로 판매 감소(△22.0%, 81,064대)

- (수입차) 일본계 브랜드*는 부진(△52.5%)하였으나, 독일계 브랜드**(벤츠, BMW, 폭스바겐 등) 판매회복(23.4%)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0.8% 증가16,833대 판매

* 2월 브랜드별 증감률(%) : (토요타)△41.5, (닛산)△24.6, (혼다)55.7, (렉서스)△63.0, (인피니티)△75.2

** 독일계 브랜드는 벤츠의 마케팅 강화, BMW의 기저효과(’18년도 차량화재 발생), 폭스바겐의 신차효과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23.4% 증가

(수출) 공장가동 중단에 따른 수출물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 대비 25.0% 감소(123,022대), 다만 고부가가치 차량SUV친환경차 수출비중 확대수출금액은 상대적으로 적게 감소(△16.6%)

*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수출감소는 약 7.6만대로 추산(전년동월 대비 감소분 4.1만대 이상 차지)

* 수출비중: [SUV] (’19.2월) 59.3% → (’20.2월) 71.9%(12.6%p↑)

[친환경차] (’19.2월) 9.0% → (’20.2월) 11.9%(2.9%p↑)

<SUV 및 친환경차 수출 현황>

구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전체 수출(대)

2,974,114

2,621,715

2,530,194

2,449,651

2,402,129

 

SUV 수출(대)

1,122,085

1,150,265

1,299,762

1,387,691

1,478,740

 

비중(%)

37.7

43.9

51.4

56.6

61.6

 

친환경차 수출(대)

39,282

78,041

177,497

196,429

258,669

 

비중(%)

1.3

3.0

7.0

8.0

10.8

- 북미수출최근 SUV 라인업 확대* 등으로 증가했으나 아시아는 KD 수출 증가에 따라 완성차 수출은 감소, 아프리카·중남미 등은 경제회복 지연으로 감소세 지속

* 전년동월 대비 팰리세이드, 베뉴, GV80 등 신형 SUV 수출 가세

* ’20.2월 지역별 잠정 수출실적(백만달러, 전년동월) : 북미(1,215, 10.6%), EU(394, △38.7%), 동유럽(179, △27.9%), 아시아(136, △23.1%), 중동(250, △16.5%), 중남미(70, △45.8%), 아프리카(59, △49.5%), 오세아니아(97, △41.7%)

(친환경차) 코로나 19 영향으로 내수 전년동월 대비 16.2% 감소6,341대, 수출 0.3% 감소14,649대 판매되었으나, 전기차․수소차 내수판매(48.7, 515.3%↑) 및 수출(10.5, 136.8%↑) 모두 동반 증가

(내수) 국산 브랜드는 코로나19 여파에도 전기․수소차의 판매호조 감소폭(△9.2%) 상대적으로 작았으나, 수입 브랜드가 일본계 차량의 부진 등으로 크게 감소(△48.0%)하여 전체적으로는 16.2% 감소

(수출) 전체 자동차 수출물량 감소에도 유럽 중심친환경차 수출 성장세 등으로 친환경차는 전년동월 수준(△0.3%)14,649대 수출

- 전기차 4,502대(10.5%↑),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2,130대(120.3%↑), 수소차 90대(136.8%↑) 등이 전년동월 대비 증가

- 특히, 전기차 연속 31개월, 수소차연속 20개월 전년동월 대비 증가하여 지속적인 수출 성장세 시현

* 전기차 : (‘18.2) 1,287대 → (’19.2) 4,076대(216.7%↑) → (‘20.2) 4,502대(10.5%↑)

* 수소차 : (‘18.2) 2대 → (’19.2) 38대(1,800%↑) → (‘20.2) 90대(136.8%↑)

‘20. 2월 자동차부품 수출은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인한 글로벌 시장 위축 등에도 불구하고, 북미 SUV 판매호조 및 인도의 신공장 가동(19.7월)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10.1% 증가 18.0억불 기록

* ‘20.2월 자동차부품 잠정 수출(백만불, 전년동월) : 북미(688,15.5%), EU(335,15.3%), 중동(94,23.3%), 중남미(84,△3.5%), 아시아(376,△7.2%), 동유럽(200,25.9%), 아프리카(17,3.6%), 오세아니아(9,△14.3%)

< 20.2월 국내 자동차산업 총괄표 >

구 분

’20.2월

전월비

(%)

전년동월비

(%)

’20.1-2월

전년동기비

(%)

생 산(대)

189,235

△24.8

△26.4

440,810

△27.9

 

내 수(대)

97,897

△15.7

△18.8

214,051

△16.6

 

국산차(대)

81,064

△17.9

△22.0

179,820

△18.8

수입차(대)

16,833

△3.2

0.8

34,231

△3.3

 

수 출(대)

123,022

△17.2

△25.0

271,568

△27.4

 

(금액/억불)

24.0

△15.7

△16.6

52.5

△19.8

부품수출

(금액/억불)

18.0

3.4

10.1

35.5

△3.9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