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고용정보원(원장 이창수)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민병주)은 2025년 상반기 주요 업종의 일자리 전망*을 발표했다.
* 본 연구는 기계, 조선, 전자, 섬유, 철강,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금속가공, 석유화학 등 국내 10개 주력 제조 업종에 대한 2025년 상반기 일자리 증감에 대해 전망하고 있다.(고용보험 피보험자 자료,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기준)
전망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대비 조선·반도체·자동차·석유화학 업종 일자리는 증가하며 섬유 업종 일자리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계·전자·철강·디스플레이·금속가공·석유화학 업종은 전년 동기 고용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증가 업종에서 증가율로 보면 조선(4.1%), 반도체(2.2%), 자동차(1.6%) 순서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025년 상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기계 | 조선 | 전자 | 섬유 | 철강 | 반도체 | 자동차 | 디스 플레이 |
금속 가공 |
석유 화학 |
유지 (0.2%) |
증가 (4.1%) |
유지 (0.3%) |
감소 (-2.3%) |
유지 (0.6%) |
증가 (2.2%) |
증가 (1.6%) |
유지 (0.6%) |
유지 (-0.5%) |
유지 (1.4%) |
주) 전년 동기 대비 고용 증가율을 기준으로 1.5% 이상이면 ‘증가’, -1.5% 이상 1.5% 미만이면 ‘유지’, –1.5% 미만이면 ‘감소’
위 파일은 고용노동부 2025년 상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발표 자료에서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7516
고용노동부
www.moel.go.kr
2025년 상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요약
2025년 상반기 10대 주력 제조업의 일자리 전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일자리 증가 예상 업종 (증가율 순):
- 조선 (4.1% 증가, 5천 명 증가 예상):
- 핵심 요인: 친환경 선박 수요 급증 (LNG선 중심)과 글로벌 수주량 증가 지속. 3년치 이상의 안정적인 수주 잔량 확보. LNG선, 대형 컨테이너선 등 건조량 18% 이상 증가 전망.
- 특징: 외국인 인력 유입으로 인력 부족 일부 해소 기대. 경남, 울산, 전남 지역 중심 증가 예상.
- 반도체 (2.2% 증가, 3천 명 증가 예상):
- 핵심 요인: 글로벌 경기 회복 및 AI 시장 폭발적 성장에 따른 고부가 메모리 반도체 (HBM) 수요 호황. 설비 투자 7.8% 증가 전망.
- 특징: 메모리 반도체 (특히 HBM) 중심으로 성장 견인. 경기, 충남, 인천 지역 중심 증가 예상.
- 자동차 (1.6% 증가, 6천 명 증가 예상):
- 핵심 요인: 하이브리드차 중심의 친환경차 수출 호조 지속, 다양한 신모델 출시 효과. 국내 수요는 위축되나 수출 호조로 생산량 유지 또는 소폭 증가 전망.
- 특징: 고부가 가치 차종 중심으로 수익성 개선 기대. 서울, 경남, 경기 지역 중심 증가 예상.
- 석유화학 (1.4% 증가, 4천 명 증가 예상):
- 핵심 요인: 업황 불황 지속에도 불구하고, 대기업 중심의 고용 안정 특성으로 소폭 증가.
- 특징: 글로벌 공급 과잉 및 불확실성 지속되나, 고용은 유지 수준 전망. 경기, 경북 지역 중심 증가 예상.
2. 일자리 유지 예상 업종 (증가율 순):
- 철강 (0.6% 유지, 1천 명 증가 예상):
- 핵심 요인: 내수 부진 (건설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EU 및 신흥 시장 수출 수요 증가로 고용 유지.
- 특징: 수출 증가에도 중국발 공급 과잉,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불확실성 상존. 충남, 경기, 경북 지역 중심 증가 예상.
- 디스플레이 (0.6% 유지, 1천 명 증가 예상):
- 핵심 요인: OLED 중심으로 생산 고도화, AI 기능 본격화에 따른 고부가 가치 모바일 기기 수요 개선.
- 특징: LCD 부문은 수출 감소 예상되나 OLED 성장으로 상쇄. 경기, 충남 지역 소폭 증가 예상.
- 전자 (0.3% 유지, 2천 명 증가 예상):
- 핵심 요인: AI 수요 증가 및 IT 제품 수요 회복에 따른 수출 실적 개선 기대.
- 특징: 해외 생산 증가로 국내 고용 창출 제한적. 경기, 서울 지역 중심 증가 예상.
- 기계 (0.2% 유지, 1천 명 증가 예상):
- 핵심 요인: 내수 소폭 회복 기대되나, 수출 정체로 보합세 유지.
- 특징: 미국, 인도, 중동 인프라 투자 확대로 일부 수출 호조, 유럽, 중국, 일본 수출 감소. 경기, 경남 지역 중심 증가 예상.
- 금속가공 (-0.5% 유지, 1천 명 감소 예상):
- 핵심 요인: 고금리 지속, 기업 투자 심리 위축, 건설업 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
- 특징: 설비 투자 감소 및 생산 감소 가능성. 경기, 경남 지역 중심 증가 예상되나 전체적으로 유지 수준.
3. 일자리 감소 예상 업종:
- 섬유 (-2.3% 감소, 4천 명 감소 예상):
- 핵심 요인: 글로벌 보호무역 강화, OEM 기업의 해외 이전 가속화, 소비자 물가 상승에 따른 내수 부진.
- 특징: 트럼프 2기 보편 관세 도입 시 수출 경쟁력 약화 우려. 대구, 경북 지역 중심 감소 예상.
종합:
2025년 상반기에는 조선, 반도체, 자동차 등 일부 주력 산업에서 긍정적인 일자리 증가가 예상되지만, 섬유 업종의 감소세와 대부분 업종의 유지 전망으로 인해 전체적인 고용 시장의 뚜렷한 개선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국내 경제의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여 업종별, 지역별 편차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