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식 ]/◇ 종목매매일지

20-07-31 키움캐치 실전매매일지 10회차

필홍 2020. 7. 31. 17:15
728x90
반응형

 

 

 

매매일지 Point1. 실전계좌의 수익률

바닥으로 보이는 조정구간이지만 손실폭은 조금더 확대된 모습을 보여줌. 즉 바닥이 여기다 하고 단정짓지 말라는 신호일지도..? 이로써 그동안 관찰을 통해 스윙으로 끌고갈 수 있는 조정구간이라고 생각하고 만들었던 검색식에는 오류가 있음을 다시한번 각인함. 일주일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종목들을 보면서 심리적으로 지쳐가는 나를 발견함.. 손절의 갈등이 생기는 이유일 것임. 하지만 버텨낼 것임.

 

 

 

 

 

매매일지 point2. 검색식에서 버렸던 카드

이미 알고 있고 몇차례 검증을 해내었던 검색조건이지만 중요성에 대해서는 의미를 크게 부여하지 않았던 조건값이 있음. 이 조건의 값을 한쪽에 넣고 한쪽에 뺀 결과는 예상외로 큰차이를 보여주었음. 오늘 진행한 테스트에서 넣은쪽에선 포착되지 않거나 적절한 타점에 종목회전이 이루어진 반면, 뺀 쪽에선 잘못된 타점으로 인해 손실폭이 상당히 커진 결과를 2개의 종목을 통해 보여줌. 

만들어 놓고도 더 많은 종목을 잡으려는 욕심에 버렸던 매도매수잔량비 라는 이 카드는 실제로도 있고 없고의 차이에 따라서 더 많은 종목을 잡아내는 반면, 회전가능한 타점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경우, 종목을 더 잡아내어 수익을 낸 만큼 이상으로 큰 손실을 줄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함. 손절설정을 하더라도 매도매수잔량비 조건값을 사용할 때 보다 이득이 될 부분은 딱히 없어보인다는 결론.

 

 

 

 

 

매매일지 Point3. 의문의 타점

종종 발견하고도 이정도 벗어난 타점쯤이야 하고 넘겼었던 부분을 오늘도 발견한 김에 문의를 남겼음. 분봉에 관한 타점이 분명 내가 조건값으로 부여한 값과 다른데.........?? 그래서 아래 이미지정도로 문의글을 남김. 더 적당한 표현이 생각나지 않음.

이 문의에 대한 답은 어쨋거나 분봉의 조건값을 찾아내는 것은 일반 차트에서 보는것과 캐치시스템상 찾아내는 것과는 시간상의 결과로 비교하면 동일하다 정도의 답변으로 이해해 볼수 있겠음. 타점이 다른 원인을 찾고싶으면 너의 조건값과 타점을 공개하라. 그럼 문제가 발생했는지 안했는지 검토해 보겠다. 인데........사실 지나간 타점들을 다 찾아내기에는 제약이 있지 않은가...어찌 다 기억을 하고 찾아내고 설명할 수 있을까...하여 다음번 이런 현상이 발생할 때면 꼭 기록해 두는 방향으로 해야겠음.

 

 

 

매매일지 작성 방식을 일부 바꿔 보았는데 보기에 더 편한지 모르겠음. 지난 후에 다시 보았을때 굉장히 어색할것 같..ㅋㅋㅋㅋㅋ 조금씩 바꿔가다 보면 점차 더 재밌고 보기편한 매매일지로 변하겠지.

 

 

[[ 주 식 ]/- 종목매매일지] - 20-07-29 ~ 30 키움캐치 실전매매일지 8회, 9회차

 

20-07-29 ~ 30 키움캐치 실전매매일지 8회, 9회차

매매일지는 사실 29일 8회차는 건너 뛰어야 함이 맞는듯함. 어제는 캐치결과를 확인할 겨를이 없었음. 어쩌면 신경쓰고 싶지 않았다는 표현이 정확하다 해야 할까.. 계좌에 있는 종목들은 하락폭

aliveclassic.tistory.com

 

728x90
반응형